영양이의 건강정보(36)
-
요오드(I)의 기능
요오드(I)는 이온형태로 식품에 존재하며 우리몸에 아주 소량 15~20mg 존재하나 없어서는 안될 필수 영양소입니다. 요오드의 대부분은 갑상선에 존재하고 나머지 20~30% 정도만 근육, 피부, 골격, 내분비 조직 등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요오드는 갑상선 호르몬의 주요성분이며 부족시 갑상선 호르몬인 티록신을 제대로 생성하지 못해 갑상선이 비대해져 갑상선종이 생깁니다. 최근들어 해산물 섭취의 증가로 요오드 겹핍증이 사라졌지만 과거에는 토양에 요오드 함량이 낮은 지역이나 바다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해조류의 섭취가 저조한 지역에서 많이 발생하는 풍토병으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갑상선 호르몬에는 트리요오드티로닌과 테트라요오드티로닌이 있는데, 명칭에서 느껴지는바와 같이 호르몬의 주요성분이 요오드라는걸 알 ..
2024.02.06 -
칼슘(Ca)은 인체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요
칼슘의 체내 기능우리 인체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무기질은 무엇을까요? 바로 칼슘(Ca)입니다. 칼슘은 뼈를 구성하고 치아를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몸에 있는 칼슘을 전부 털어내면 1.2kg정도 되며 이중 99%는 골격과 치아 형성에 사용되고 나머지 1%만이 세포내외액에 존재하며 생리적 기능을 합니다. 골격에는 조골세포와 파골세포가 존재하는데, 조골세포는 새로운 뼈를 생성하고, 파골세포는 단어에서 풍기는 뜻처럼, "파괴" 즉 뼈를 분해합니다. 우리 뼈는 겉으로 보기에 단단하게 고착되어 보이지만 끊임없이 재생성 과정을 거치며 매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답니다.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에 의해 칼슘이 지속적으로 드나들며 뼈가 석회화가 되었다, 용출이 되었다를 반복합니다. 이 세포들은 부갑상선호르몬, ..
2024.01.09 -
표고버섯의 칼로리 및 영양성분 분석
표고버섯의 특유의 향은 음식의 풍미를 돋아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렇다면 표고버섯 100g의 칼로리는 어느 정도이며 어떤 영양소가 풍부한지 한 번 알아봅시다. 표고버섯의 칼로리 생 표고버섯 100g은 30kcal정도 된답니다. 보통 채소 1인 1회 분량은 70g이며 20kcal로 저열량이기에 곡류, 육류보다는 채소류를 많이 섭취하는걸 권장드립니다. 표고버섯의 영양성분 표고버섯 100g에는 총 식이섬유가 6.6g 들어 있으며 한국인 1일 영양섭취 기준 20g과 비교하면 26%에 달합니다. 표고버섯 400g만 섭취해도 1일 총식이섬유 섭취량을 충족한다는 의미입니다. 의외로 타 채소에 비해 단백질이 4g정도 들어있어 1일 권장섭취대비 7%에 달합니다. 또한 표고버섯은 수용성 비타민이 매우 풍부합니다. ..
2024.01.08 -
열의 전달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식품에 열을 가열하면 식품내로 에너지가 가해지므로 분자운동에 의해 향, 색, 맛, 질감, 영양 등 여러가지가 변화됩니다. 열의 전달법은 다양한데 크게 복사, 전도, 대류,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이 있습니다.복사(Radiation)복사는 열원으로 부터 중간매체 없이 직접 물체에 도달하여 열이 전달되는 것을 말하며 열의 복사는 빛과 같은 형태로 공간을 직진하고 다른 물체에 닿으면 흡수, 반사, 투과됩니다. 전기 또는 가스레인지나 숯불, 연탈불로 고기를 구울 때 복사가 일어납니다. 표면이 거칠고 어두운 색을 띠는 용기는 복사에너지를 흡수하므로 내용물이 빨리 가열되고, 매끈하고 반짝이는 용기를 복사열을 반사하므로 가열이 느립니다. 전도(Conduction)홈쇼핑에서 후라이팬이나 냄비를 팔때 쇼호스트가 "이 냄비..
2024.01.03 -
식중독이란 무엇일까요
식품의 안정성식중독은 세균이나 그 세균이 만들어낸 독소 등의 물질을 포함한 식품을 섭취했을때 소화기관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과거에는 미생물의 침입을 막기위해 식품을 소금으로 절이거나 햇빛에 건조하는 등의 방법으로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해 왔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원초적인 절임, 말림, 훈제 등의 방법뿐만이 아니라 해썹(HACCP)으로 식품의 원재료 생산에서부터 소비자에게 전달되는데 까지 생물,화학,물리적 위해요소들을 차단하고 예방하여 체계적으로 식품 안전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따뜻한 음식은 따뜻하게, 찬 음식은 차게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만들어지면서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고 있습니다. 급성 식중독의 증상은 주로 설사와 복통 등의 소화기계 증상이 많으며..
2023.12.19 -
제1형vs제2형 당뇨병의 차이
당뇨병의 진단기준당뇨병은 문자 그대도 "당", 즉 포도당이 "뇨" 소변으로 배출된다는 의미입니다. 원래 포도당 같은 영양소는 인체조직으로 들어가 에너지를 만들어야 하는데, 다양한 이유로 세포로의 흡수가 안되어 혈액속에 쌓여있다 소변으로 배출되어 대사 질환이 발생합니다. 우리 인체는 8시간 공복상태에서 혈당이 70~100mg/100ml이면 정상, 126mg/100ml 이상이면 당뇨라 진단합니다. 특히 100~125mg/100ml인 당뇨전 단계인 분들은 당뇨로 넘어가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혈당이 170mg/100ml 이상이면 고혈당증으로 포도당이 소변으로 배설되기 시작하며 공복과 갈증을 느끼며 체중 감소가 일어납니다. 반면 40~50mg/100ml이하로 떨어지면 “저혈당”이라 진단하며 신경이 예..
2023.12.11